경제 공부/경제 지표

[경제지표] 경제의 흐름 공부(1): 자동차 판매

오비루 2025. 4. 14. 21:33
728x90
728x90

오늘 읽은 부분 중 차량 판매 항목에 대해서 정리해보고자 글을 적는다.

https://www.spglobal.com/mobility/en/products/global-auto-demand-tracker-ko.html

 

Sharing insights elevates their impact

Global Auto Demand Tracker Global Auto Demand Tracker는 브랜드 및 모델 수준으로 제공되며, 데이터는 다음과 같습니다: 150개 이상의 국가350개 이상의 제조사/브랜드연료 유형(BEV, FCV, HEV, ICE, MEV, 플러그인)제

www.spglobal.com

 

자동차 판매는 경제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한다.

 

자동차에 엮인 산업은 굉장히 많기 때문에 차량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 낙수효과처럼 하청에도 많은 수익을 줄 수 있어 경제에 선 순환이 돌게된다.

 

이러한 부분을 지표로 보기 위해 책에서 언급한 WSJ에서 자료를 확인하라고 하였으나, 너무 옛날이었기 때문일까. 지금은 유료로 전환이 된 듯 하여 인터넷을 찾다 S&P Global에 차량 수요 traker가 있어서 이걸 토대로 약간 공부해보려한다.

Global Auto Demand Tracker 의 그래프 中 1

 

이 그래프를 보면 차량에 대한 수요가 11년도까지 야금야금 오르다가 1월가량 부터 확 꺾인 것을 볼 수 있다.

320x100

대체로 차량 판매 추이를 보면 경제의 흐름이 보인다고 하더니, 이렇게 배우고 나니깐 조금씩 그림이 보이는 기분이다.

 

25년도 3월에 갑자기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데, 이는 아마 얼마전 뉴스에서 본 것을 토대로 추론하자면 관세로 인해 일반 소비자들이 차량 가격이 급등할 것을 대비해 소비를 일찍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.

 

 

현재 한국/일본/중국의 경우 차량에 대한 소비가 타 지역대비 월등하게 급증했고, 서아시아와 유럽국가의 소비는 위축된 것을 볼 수 있다. 아직 이 부분에 대한 추론을 하지는 못 했지만, 이는 차차 배워가다보면 지식이 채워질 부분이라고 생각한다.

 

근데, 동아시아는 왜.. 소비가 증가한걸까? 경기가 좋아졌다고 판단을 하면서 사람들이 소비를 시작한걸까?

728x90

이런 부분에 대한 것도 계속 고민하다보면 하나씩 채워져가겠지..

 

728x90
반응형